안녕하세요, 오늘은 여러분들께 소득 하위70%기준에 대해서 알려드리려고 하는데요. 코로나로 인해 최근들어 주기적으로 정부에서 지원금을 지원하여 주고 있는데요. 한번씩 이렇게 지원하여 주는 지원금이 마른땅에 단비가 아닐수 없습니다. 그렇기에 지원금의 지표가 되는 소득 하위70%기준 과 80%기준을 알아두시는것이 좋은데요. 아래에서 설명을 하여 드리겠으니 포스팅 쭉 읽어보시기 바라겠습니다.
소득 하위기준은?
소득 하위기준에 대해서 간단히 설명해 드릴껀데요. 소득하위기준은 국민전체를 통틀어 100%를 기준으로 소득을 상위, 하위로 나뉘게 되는데요. 상위는 소득에 30%에 들어가면 상위에 속하며, 소득 70%에 들어가게 되면 하위에 속하게 됩니다. 헌데 이번 재난지원금은 80%가 속하기에 오늘은 80%까지 알아보도록 할껀데요. 그럼 기준 중위소득은 어떻게 되는지 알아볼까요?
소득 하위70%기준
소득 하위70%기준은 아래와 같이 생각하시면 되며, 기준은 소득하위 50%가 기준 중위소득 100% 이며, 국민소득수준에 딱 100등이라고 생각하시면 될것 같습니다.
▶ 소득 하위70% 기준 중위소득 150%
가구수 | 소득 하위70%기준 |
1인가구 | 2,741,747 |
2인가구 | 4,632,119 |
3인가구 | 5,975,925 |
4인가구 | 7,314,435 |
5인가구 | 8,636,060 |
6인가구 | 9,942,905 |
소득 하위80%기준
소득 하위80% 기준금액도 같이 알아볼껀데요. 이는 이번 국민재난지원금이 소득하위 80%에 해당된다는 말이 있어 70%과 같이 알아보았으니 여러분들께서 같이 참고하시면 좋으실것 같습니다.
▶ 소득 하위80%기준 기준중위소득 200%
가구수 | 소득 하위80%기준 |
1인가구 | 3,655,662 |
2인가구 | 6,176,158 |
3인가구 | 7,967,900 |
4인가구 | 9,752,580 |
5인가구 | 11,514,746 |
6인가구 | 13,257,206 |
소득 하위80%기준 건보료
소득 하위80%를 알아보는 기준은 건보료을 확인하셔도 되는데요. 만약 가입을 하였다면 직장, 지역, 혼합인지 확인하시길 바라며, 아래의 금액을 기입해 놓도록 하겠으니 확인해보시기 바라겠습니다.
가구수 | 소득 | 건보료 | ||
직장 | 지역 | 혼합 | ||
1인가구 | 3,655,662 | 138,548 | 128,099 | - |
2인가구 | 6,176,160 | 230,372 | 246,211 | 234,126 |
3인가구 | 7,967,900 | 310,130 | 344,643 | 319,769 |
4인가구 | 9,752,580 | 376,159 | 416,108 | 395,652 |
5인가구 | 11,514,746 | 423,946 | 468,665 | 461,977 |
마무리
오늘은 이렇게 소득 하위70%기준이란, 소득 하위 80% 기준금액 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여러분들 어떠셨나요?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나요? 이번 국민지원금은 전국민이 모두 받을수 있다고 하여 크게 이슈가 되었는데요. 하지만 소득 하위 80% 기준금액으로 받으실수 있으니 이를 기억하시길 바라며, 위의 내용을 상세히 보시고 기준에 해당되는지 먼저 파악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인당 25만원식 지급이니 4인가구 시라면 100만원이 지급되겠죠. 오늘도 저의 포스팅 읽어주셔서 감사드리며, 다음에 더 유익한 내용으로 찾아뵙도록 하겠습니다.
>>>같이보면 좋은글
숨은 정부지원금 찾기, 토스 이용
오늘은 숨은 정부지원금 찾기, 토스로 찾는법에 대해서 설명을 해드리려고 하는데요. 여러분들 만약 토스로 찾는것중 한번도 지원을 신청하신적이 없으시거나 지원을 했지만 어느정도 기간이
gusujung.tistory.com
중위소득 75% 이하, 기준 및 지원
안녕하세요, 오늘은 중위소득 75% 이하, 기준 및 지원 에 대해서 정리를 하여 보여드릴려고 하는데요. 요즘 다양하게 지원하는 내용들이 확대되어 생활에 많은 도움이 되는것 같습니다. 그렇기에
gusujung.tistory.com
차상위계층 기준 및 혜택
안녕하세요, 오늘은 차상위계층 기준 및 혜택 에 대해서 설명해드리려고 하는데요. 여러분들 차상위계층의 정확한 뜻과 기준 에 대해서 알고 계신가요? 저도 기초생활수급자 에 대해서는 어느
gusujung.tistory.com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통신비 미환급금 조회 따라해봐요 (0) | 2021.07.30 |
---|---|
퇴직금 중간정산 요건 정리 (0) | 2021.07.23 |
근로자 휴가지원사업, 온라인몰 이용방법 (0) | 2021.07.14 |
피지 제거기 모공관리 좋아요 (0) | 2021.07.09 |
시외버스 통합예매 하는 방법 (0) | 2021.07.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