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연말정산 미리보기 따라하기 에 대해서 설명해드리려고 하는데요. 여러분들 이제 슬슬 연말이 다가오면서 미리보기를 통해서 연말정산을 하시는분들이 많으신데요. 저도 월급쟁이 이기 때문에 미리미리 연말정산을 해보며 내가 얼마를 섰는지 어느정도를 소득공제 할수 있는지 확인을 해보고 있습니다. 그렇기에 오늘은 연말정산 미리보기 따라하는 방법에 대해서 낱낱히 알려드리려고 하는데요. 아래로 따라와주시기 바랍니다.
연말정산 미리보기
연말정산은 우리가 매년 소비하였던 금액은 얼마인지 이것을 통해서 얼마를 수령하며, 세액이 얼마인지 미리 볼수 있도록 간편하게 서비스를 통해서 알려주고 있는데요. 이는 국세청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또한, 사이트를 통해서 알수 있는것이 이뿐만 아닌데요. 신용카드, 소득공제, 연말정산 예상세액 등 미리 계산이 가능하답니다. 그럼 아래에서 자세히 계산을 어떻게 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연말정산 미리보기 따라하기
- 순서 -
1. 홈택스로 들어가기
2. 연말정산 미리보기
3. 변경된 신용카드 소득공제율 확인하기
1. 먼저 홈택스를 들어가셔야 연말정산 미리보기를 확인하실수 있으신데요. 이렇게 미리보기로 확인을 해보시는것은 연말정산이 나오기전 나의 소득공제 및 돌려받을 세금, 다음에 어떻게 나의 월급으로 절세를 할수있는지에 대해 알아볼수 있어 실생활에 매우 도움이 되니 한번쯤 들어가셔서 저처럼 확인해 보시기 바라겠습니다.
2. 비회원도 로그인은 가능하지만 가능한 공인인증서로 접속하여 주세요. 그렇게 되면 내가 섰던 카드들의 자료를 클릭하나로 통해 보실수 있습니다.
3. 이렇게 들어가시게 되면 메인화면에 연말정산 미리보기가 보이실텐데요 클릭하여 주세요. 그럼 메인화면에 이렇게 step01,02,03 로 나뉘어짐을 보실수 있으실겁니다.
4. 먼저 step 01을 통해 신용카드 공제액을 확인하실수 있으실텐데요. 이것을 클릭하셔서 들어가시면 먼저 나의 2019년의 월급이 보이실꺼에요. 맞는지 확인하시고 적용하기를 눌러주세요.
5. 들어가시게 되면 먼저 근무기간과 내가 근무했던 총 급여액이 보일실 텐데요. 맞으시면 적용을 클릭하여 주세요.
5. 신용카드자료는 불러오기를 클릭하시게 되면 제가 섰던 금액들이 다 나오게 되는데요. 토대는 신용카드, 직불카드, 현금영수증 등의 내가 섰던것들이 나오게 됩니다. 부양가족 부분을 추가하고 싶으시면 추가하시면 됩니다.
6. 스크롤바를 내려 밑으로 가시게 되면 사용액들이 항목대로 다 나뉘어져 입력이 되어 있을 텐데요. 1~9월까지는 자료들이 나와있지만 10~12월의 대한 내용들은 직접기입하여 마무리해주셔야 합니다.
7. 자 사용금액, 공제금액, 세액등의 내용들과 합계들이 기입이 되어 있을거에요. 그다음 step2 로 들어갈건데요. 그 부분을 클릭하여 주세요.
8. 들어가시게 되면 위에 보이시는 총급여 및 기납부세액을 수정해주셔야 하는데요. 근로소득세이실경우 지방소득세를 제외한 나머지 갑근세 부분만 계산하여 기입하여 줍니다.
9. 마지막으로 빠진부분들을 기입하여 주셔야 하는데요. 소득공제 부분과 감면, 공제 부분은 다시 한번 확인하시고 꼭 기입하여 주시길 바랄께요. 생각보다 간단하게 하실수 있으니 겁먹지 않으셔도 됩니다.
연말정산 미리보기 변경
바뀐 신용카드 소득공제율도 확인해보시는 것이 좋은데요. 이번년 1~2월 사용부터 해서 특히 4~7월간 사용한것은 80%나 공제율이 높아 이때 많이 활용을 하셨다면 이번 연말정산은 기대해도 좋겠네요.
또한, 한도액도 현행의 비해 30만원씩 상향을 하였으니 이도 꼭 기억하셔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오늘은 이렇게 연말정산 미리보기 도 따라하여 보며, 변경된 사항도 알아 보았는데요. 이번년은 힘든 만큼 더욱 공제가 늘어났으니 꼭 한번 확인하셔서 힘든 시기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모두들 이번년 다가오는 다음년 화이팅 하시길 바라며, 오늘도 저의 포스팅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같이 보면 좋은글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환경미화원 연봉, 근무시간, 체력시험 총정리 (0) | 2020.12.03 |
---|---|
청년 주거급여 분리지급, 신청자격, 지원대상 (0) | 2020.11.27 |
보일러 교체 지원금 받기 (0) | 2020.11.19 |
간병인 일당 책정은 어떻게 (0) | 2020.11.19 |
65세이상 노인 혜택 기억하기 (0) | 2020.11.18 |